어떤 프론트엔드 프레임웍을 공부할 것인가? 아마도 시간이 부족한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수십번 이런 질문을 생각했을 것이다. 필자 역시 프론트엔드 공부를 시작할 때도 그렇고 프로젝트 아키텍쳐를 설계할 때도 어떤 프레임웍을 선택할지 수 많은 고민을 한다. 그리고 이런 고민은 비단 필자만 하는 것이 아닐 것이다. 해외 개발자 커뮤니티를 비롯해 구글 검색만 해봐도 React vs Angular vs Vue 2019 같은 글들이 정말 많이 올라온다. 어쨋든 필자도 이런 고민 분위기에 동참해서 그동안의 경험을 바탕으로 2019년 새해에는 어떤 프레임웍을 선택하는 것이 좋을까 고민해봤다. 그리고 결국 2019년에는 vue.js를 선택할 것이라는 결론을 냈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그 이유를 간단하게 정리해봤다. 참고..
아마 영화를 다운로드 받았는데 .srt 파일이 딸려와서 네이버나 구글 검색을 해보신 분들이 이 글을 찾아보지 않았을까 싶네요. srt 파일은 아마 컴퓨터로 영화를 자주 보지 않으신 분들은 조금 생소할 수 있을텐데요. srt 파일은 다름 자막파일을 의미합니다. 자막파일로 smi 파일은 아마 많이들 보셨을거예요. 그러면 srt 파일과 smi 파일의 차이점은 뭘까요? 이 파일들이 뭐길래 영화마다 다르게 적용되어 있을까요? 반응형 사실 일반 동영상 프로그램으로 봤을 때 둘의 차이는 쉽게 찾아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두 파일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SRT파일은 Text 파일이라는 점 입니다. 반대로 SMI 파일은 HTML 코드 등을 통해서 폰트를 주거나 색을 넣을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SRT 파일..
인터넷을 사용하다보면 쿠키가 엄청나게 쌓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쿠키 때문에 브라우저의 성능이 느려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럴 때는 쿠키삭제 방법을 통해 쿠키를 정리해주면 성능이 조금 향상될 수 있습니다. 인터넷 브라우저의 쿠키삭제 방법은 크게 익스플로러와 크롬으로 나눠서 설명을 드려야 할 것 같은데요. 우선 인터넷 익스플로러의 경우는 브라우저에서 인터넷옵션 - 일반탭에서 검색기록에 있는 삭제버튼을 눌러주면 됩니다. 반응형 구글 크롬의 경우에는 간단하게 ctrl + H 단축키를 누르시면 되는데요. 이 단축키를 누르면 왼쪽메뉴에 clear browsing data 라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 걸 클릭하면 위와 같은 사진처럼 뜨는데요. 여기서 캐시와 쿠키 부분을 체크하고 삭제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컴퓨터 알람 프로그램은 정말 다양하죠. 그 중에 FREEALARMCLOCK 이라는 프로그램을 아실지 모르겠네요. FREEALARMCLOCK은 2016년에 출시된 프로그램으로 프리웨어 입니다. 즉, 공짜로 아무나 다운로드 받아서 쓸 수 있다는 얘기죠. 그러면 Free Alarm Clock 이라는 프로그램은 네이버에서 검색해서 간단히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현재 버전은 4.0.1 버전까지 나와 있는데요. 이 프로램을 설치하면 원하는 만큼 알람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그리고 알람 자체에 메모를 작성할 수 있어서 편리한 점도 있는데요. 반복 알람도 설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뭐, 여러가지 컴퓨터 알람 프로그램이 있지만 전 그 중에 FREEALARMCLOCK 이 가장 사용하기 편한 것 같네요..
최근 신학기가 되면서 노트북을 구입하시는 분들이 많죠. 하지만 정작 노트북 블루투스 연결 방법을 몰라 제대로 노트북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금일은 노트북 블루투스 연결 방법을 알아볼까 합니다. 우선 노트북에서 블루투스 스피커를 연결하는 방법을 알아볼께요. 사용하고 있는 OS가 윈도우라면 윈도우 검색창에서 간단하게 bluetooth 를 입력하면 블루투스 설정화면을 열 수 있습니다. 반응형 블루투스 설정화면에서 블루투스를 on 시켜 주면 컴퓨터의 블루투스가 켜지는데요. 이렇게 되면 스피커나 기타 블루투스 연결이 가능한 장치에서 해당 PC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각 기기에서 블루투스 연결로 내 PC를 찾아주면 되는 것이죠. 블루투스 연결이 어려우시면 아래 링크를 한 번 참고 해보시길 바랍니..
유클라우드 오피스 관련해서 알아보시는 분들이 많죠. KT 올레 유클라우드 오피스는 대용량의 저장공간과 함께 사용하기 편리하다는 점에서 기업 고객들이 많이 찾는 것 같습니다. 최근 드랍박스, 구글 드라이브 같은 무료 클라우드 서비스가 많지만 드랍박스는 무료회원의 경우 2GB, 구글 드라이브는 15GB 를 제공해주고 있어 아마 유클라우드 오피스가 가장 큰 용량을 제공하지 않을까 싶네요. 또한 유클라우드는 협업하고 있는 동료 간 파일공유가 간편해 업무 효율에도 좋은 것 같습니다. 반응형 각 공유 그룹에 대한 그룹원 관리가 가능하며 금융기관 수준의 강력한 보안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보안 문제로 드랍박스나 구글 드라이브를 꺼려하시는 기업 담당자 분들에게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336 x 280
이번 포스팅에서는 노트북 눈부심 방지 관련해서 알아볼까 합니다. 이전에 어떤 분이 노트북 눈부심 방지 필름이 있는게 좋을까요? 라고 물어보시기도 했는데요. 문서작업이나 인터넷을 할 때는 무조건 눈부심 방지 기능이 있는 것이 좋습니다. 노트북 눈부심 방지 기능은 논 글레어 기능이라고도 하는데요. 비지니스 용으로 노트북을 쓰신다면 오래 써도 눈이 아프지 않도록 눈부심 방지 필름이나 눈부심 방지 프로그램을 써버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노트북 방지 프로그램 중에는 Aura 라는 프로그램도 있는데요. 모니터의 색감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눈부심을 억제해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이 외에도 눈부심 방지 필름을 붙이는 것도 괜찮은데요. 눈은 한 번 버리면 큰일 나기 때문에 미리 이런 조치를 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애플 제품을 주로 사용하시는 분들은 아마 거의 필수적으로 아이클라우드를 사용하고 계실 겁니다. 그 중에 아이클라우드사진보관함 이라는 서비스도 있는데요. 이 기능을 잘 활용하면 아이폰, 아이패드, 맥북 사이의 사진 공유를 원활하게 할 수 있습니다. 아이클라우드 사진보관함을 사용하려면 우선 아이클라우드에서 사진보관함 기능을 활성화 해야 합니다. 아이폰이라면 설정 > 사진 및 카메라에 들어가면 iCloud 사진 보관함 이라는 항목이 있는데요. 이 것을 On 시켜 주시면 됩니다. 반응형 아이클라우드 사진보관함 활성화를 마치고 사진 앱을 켜보면 이전과 별반 다른 것이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사진이 모두 아이클라우드에 저장이 된 것이죠. 그래서 맥북 사진앱을 켜보면 아이클라우드 사진보관함에 사진이 공유된 것을 확인..
인텔 내장 그래픽스가 달려있는 노트북은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죠. 하지만 게이밍 노트북을 선택할 때는 조금 신중하여야 할 것 같습니다. 간혹 인텔HD4000 그래픽스로 게임을 돌리겠다는 분들이 있는데요. 어떤 게임이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저 같으면 조금 말리고 싶은 생각입니다. 예전에 보더랜드2라는 게임을 인텔 HD 4000 과 i7-3520M 그리고 듀얼코어인 노트북으로 돌려봤는데요. 중하 옵션으로 하고 돌려도 살짝 버거움을 느꼈습니다. 반응형 당연히 엑박 같은 콘솔으로 하는 것과 차이가 났고요. 그래서 저는 인텔 HD 4000 정도의 내장 그래픽이 달려있는 노트북을 구매하시는 분들에게 그냥 캐주얼 게임이나 문서 작업용으로만 쓰세요 라고 합니다. 뭐, 사람마다 취향은 다르겠지만요.. 336 x 280
컴퓨터나 노트북 그래픽 카드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라데온HD6770 의 성능이 과연 어느정도 일 지 한 번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게임 할 때 그래픽 카드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으니 성능을 잘 알아 봐야하죠. 일반적인 라데온 HD 6770 성능에 대한 평가는 GTX 550Ti 정도와 비슷하다는 겁니다. 다음 게임의 검은사막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권장 그래픽으로 라데온HD6770 을 제시하기도 하였는데요. 반응형 개인적으로는 검은사막 플옵을 돌리려면 라데온HD6770 으로는 좀 부족하지 않나 싶습니다. GTX 750 정도의 그래픽이면 무난히 돌릴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아무튼 무난한 게임을 즐기려면 눈물을 머금고 그래픽에 투자를 해야겠죠. 336 x 280